글쓰기 수업 <라라 프로젝트>의 박성희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소개해 주신 글이 좋아서 읽게 되었다.천문학자가 쓴 에세이라는 사실도 신기했다. ‘네이처’가 미래의 달 과학을 이끌어갈 차세대 과학자로 지목한 한국 여성 과학자. 멋있다.이런건 일단 한번 읽어볼만해.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_심채경
그런 사람들이 좋았어. 사람들이 보기에 저게 도대체 뭘까 하는 생각에 즐겁게 몰두하는 사람들.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정치적 다툼을 만들지도 않는 대단한 명예나 부가 따라오는 것도 아니고 TV나 휴대전화처럼 보편적인 삶의 방식을 바꾸는 영향력을 갖는 것도 아닌 그런 것에 열정을 바치는 사람들. 신호가 도달하는 데 수백 년이 걸리는 곳에 한없이 전파를 흘려 전 우주에 과연 ‘우리뿐인가’를 깊이 생각하는 무해한 사람들. 나는 그런 사람들을 동경해. 그리고 그들이 동경하는 하늘을, 자연을, 우주를 함께 동경한다.P13 프롤로그
뭔가에 몰두하는 사람들은 아름답다. 그들의 몰두가 무해하다면 더 좋다. 남의 결점을 들추어내다 정치가보다 아름다움에 몰두하는 예술가들의 근처에 있고 싶은 마음은 그 때문일까. 우주 비행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온 이·소연은 수백번의 대중 강연과 인터뷰를 갖고 당초 계약한 의무 기간의 배로는 동안 우주 비행사로서의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우주 비행사 프로젝트는 일회성 사업이며, 향후에도 우주 비행사의 이·소연이 나올 것은 11일 비행의 이야기를 반복하는 것뿐이었다. 중략 우주 비행사의 이·소연이 생겨후속 프로젝트가 마련될 길은 멀었다. 고민 끝에 휴직하고 미국 유학 길에 앉자 이번에는 “먹튀”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거기에서 한국계 미국인과 결혼했을 때도 휴직 기간이 만료되면서 마침내 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을 퇴사했을 때도 같은 것이 반복됐다. 중략 규정 위반으로 우주 비행에 참여하지 못한 고 야마지마 연구원과 의무 계약 기간을 마친 뒤 미국으로 건너갔다. 역시 우주인으로서의 정체성과 별도로 접점이 없는 분야에 유학했으나 아무도 비난하지 않았다. P 102
2부”최고의 우주 비행사”챕터가 매우 인상적이었다. 기사에서 어렴풋이 알던 이·소연 박사의 내용을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누구나 그럴 수는 아니지만 여성의 업적을 쉽게 비하하는 사람이 있다. 그 여자가 바로 나의 딸인 언니인 아내일지도 모르는데. 보안 규정 위반으로 우주 비행에 참여하지 못한 고 씨가 하지 않은 비난을 왜 이·소연 박사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받아야 했는지 이해하지 못 했다. 여자든 남자든 맡은 일에 대해서 최선을 다하고 해냈다면 업적을 칭찬하면 충분하다. 공정하지 않은 자로 불필요하게 깎을 필요는 없다.얼마 전 한국에서 15년 미생물 연구소에서 헤파티티스(Hepatitis)A, B등을 비롯한 에볼라(Ebola)바이러스를 연구하던 독일의 생물학자와 만났다. 그 생물학자가 15도 살던 한국을 떠나서 미국에 간다고 하여, 그 이유를 물었다. 한국에서 어떤 연구를 하면 외국인 연구자가 연구를 이끌고 성과를 내고도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외국인 연구자의 이름이 아니라 함께 참가한 한국인 연구자의 이름으로 발표된다. 연구 분야의 생태계를 잘 모르는 탓인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한국에서 열린 연구이기 때문에 한국의 업적으로 삼기고 싶다는 욕심이 있을까. 나는 자신의 나라가 잘 되기를 원하는 사람이지만 진실을 왜곡해서 얻는 명예이라면 부끄러운 것이다. 무엇보다 한국에 애정이 있던 능력 있는 과학자가 한국을 떠나는 것도 아쉬웠다. 어린 왕자가 나오는 부분에서는 자연형의 사람인 심·치에교은 박사와 문과형의 사람인 내가 얼마나 다른지를 분명히 알 수 있었다. 나도 『 어린 왕자 』을 좋아한다. 한국어로 읽었고, 아주 좋아해서 프랑스어를 전공하던 시절, 내가 좋아하던 부분을 프랑스어에서도 찾아 읽은 기억이 있다. 해가 지는 광경이 좋아하는 어린 왕자가 나오는 부분에서 글을 보면서 일몰을 감상 하는 어린 왕자의 모습을 상상하고 보았지만, 논리적으로 맞는지를 생각한 적은 없다. “일몰을 다시 보려면 의자를 앞으로 당기고 태양을 향해서 다가가야 한다”논리적으로 생각해도 정확한지 잘못되고 있는지도 모르는 것이 과학적 지식이 없는 내가 보이게 된 반응이다.
1969년 7월 아폴로 11호 닐 암스트롱 선장은 착륙선 사다리를 타고 달 표면에 첫발을 내딛으며 한 사람에게는 작은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라는 명언을 남겼다.P 260
다양한 소재를 천문학자 입장에서 풀어 신선했고, 특히 1, 2부는 일반 에세이처럼 무리 없이 잘 읽혔다. 3부 ‘매우 짧은 천문학 수업’이라는 챕터에서 과학적인 설명이 나오면서 읽는 속도에 약간 제동이 걸렸지만 누구나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은 좋은 책이었다.인류에게 거대한 도약을 남길 수 있는 어떤 발자취가 앞으로도 이어질지 정말 기대된다. 과학자들은 자기 분야에서 열심히 연구하고 파이(π)하면 원주율보다는 사과파이가 먼저 떠오르는 나 같은 사람은 그냥 파이를 굽거나 하면 된다.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노력하면 인류를 위해 뭔가는 이룰 수 있지 않을까.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저자 심채경 출판문학동네 출간 2021.02.22.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저자 심채경 출판문학동네 출간 2021.02.22.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저자 심채경 출판문학동네 출간 2021.02.22.